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37

[경기도] 의료비 지원이 필요한 도민을 위한 의료비 지원 사업 희귀질환자 고위험임산부 청소년산모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암환자 금연치료 ◎ 경기도 의료비 지원 사업이란 ? 비싼 의료비에 진료를 미루거나 치료를 포기하는 도민들을 위해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지원사업으로 정해진 신청기간 없이 해당되는 사업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지원사업종류 ① 희귀질환자 의료비 ② 고위험임산부 의료비 ③ 청소년산모 의료비 ④ 미숙아 및 선청성이상아 의료비 ⑤ 암환자 의료비 ⑥ 병의원 금연치료 의료비 및 약제비 ◎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 지원대상 - 건강보험 소득·재산 기준 이하자 - 차상위 본인부담경감대상자 또는 의료급여수급권자 ○ 지원내용 - 건강보험 가입자 : 본인부담금 10%(진료비, 보조기기 구입비, 만성신장병요양비, 인공호흡기 및 기침유발기 대여료), 간병비, 특수식이구입비(특수조제분야, 저단백즉석밥 등) - 차상위·의료급여수급권.. 2023. 8. 23.
[서울시] 서울형 육아휴직 장려금 최대 240만원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 지원대상 신청기간 신청방법 ◎ 서울형 육아휴직 장려금이란 ? 직장인 엄마아빠가 눈치 보지 않고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서울시가 새롭게 추진하는 육아휴직 장려책으로,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한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의 대표 사업입니다. ◎ 지원대상 *신청자는 아래 ① ~ ③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 가능 ① 신청일 기준 1년 이상 계속해서 서울시 관내에 주민등록이 등재돼 있는 엄마·아빠의 경우 (외국인 및 다문화 가정도 신청 가능) ② 고용보험 가입 후 2023년 1월 이후 육아휴직을 사용해 육아휴직급여를 6개월 연속 수급한 경우 ③ 건강보험료 본인납부금 기준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하인 경우 ◎ 신청기간 2023. 9. 1.(금) 부터 가능하며 매월 15일까지 신청 ◎ 신청방법 몽땅정보.. 2023. 8. 23.
[서울시 청년] 서울청년문화패스 2001~2004년생 공연관람비 20만원 지원대상 신청방법 ◎ 서울청년문화패스란 ? 서울시가 학업 경쟁과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공연 관람이 어려웠던 서울 거주 청년들의 문화생활을 지원하고, 동시에 청년들이 문화예술의 적극 소비층으로 성장하는 것을 도와 문화예술의 소비와 창작을 촉진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겠다는 취지로 기획된 사업입니다. ◎ 지원대상 * 신청자는 아래 ①~③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 가능 ① 신청일 기준 서울에 거주 중이거나 주민등록상/외국인등록대장상 서울시에 주소를 둔 청년 ② 19세 ~ 22세 청년 (2001 ~ 2004년생) ③ 건강보험료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인 청년 ◎ 지원규모 약 30,000명 (*예산 범위 초과 신청 시, 저소득 대상자 우선 선정) ◎ 지원분야 공연예술 관람(연극, 뮤지컬, 무용, 클래식 등) *대중음악 콘.. 2023. 8. 22.
[부동산] 청년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사업 시행 최대 30만원 지원 ◎ 청년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사업이란 ? 사회초년생 등 저소득 청년들을 전세사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전국에 동시 시행하는 것으로 납부한 보증료를 최대 30만원까지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 지원대상 ※ 아래 내용을 모두 만족하는 사람 ① 연소득 5천만원(신혼부부 7천만원) 이하 ② 전세보증금 3억원 이하 ③ ‘23.1.1. 이후 전세보증금반환보증(HUG, HF, SG)가입 ④ 무주택자(분양권, 입주권 보유시 신청 불가) ⑤ 시·도 지자체 조례에서 정하는 청년 (경기, 부산 만 34세 이하, 전남 만 45세 이하, 그 외 만 39세 이하) ◎ 지원내용 신청인이 기 납부한 보증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최대 30만원까지 본인 계좌로 환급 ◎ 신청방법 ○ 방문접수 신청자 본인(또는 배우자).. 2023. 8. 21.